메뉴버튼

정신건강

조현병 관련 이미지

조현병이란?

뇌의 신경구조의 이상으로 혼란을 겪는 상태를 말합니다. 조현이란 현악기의 줄을 고른다는 뜻으로 조현병이란 뇌의 신경구조의 이상으로 마치 현악기가 제대로 조율되지 않은 것처럼 혼란을 겪는 상태를 말합니다.

조현병은 평생 유병율이 1%로 비교적 흔하게 걸릴 수 있는 질병으로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는 않지만 도파민, 세로토닌 등과 같은 뇌 호르몬 이상 등의 기질적인 이상을 그 원인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조현병은 독일 정신과 의사 에밀 크레펠린(Emil Kraepelin)이 젊은 나이에 발병하고 인지기능의 저하되는 환자를 치료하면서 조발성 치매(dementia praecox)라는 용어를 쓰면서 처음으로 개념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이후 오이겐 블로일러(Eugen Bleuler)가 병의 경과보다는 증상 자체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 정신분열증(schizophrenia)이란 이름을 제안하였습니다.

병명의 기원은 그리스어 schizo(split, 분리)와 phrenia(mind, 마음)에서 비롯했는데, 이는 조현병이 절망적인 병이 아니라는 면을 전달하여 병에 대한 편견을 없애는 것이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정신분열증이라는 부정적 이미지를 변경하여 조현병이란 이름으로 병명을 변경하였습니다.

조현병의 원인

생물학적인 소인과스트레스 등과 같은 환경적인 영향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병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 과거
  • 현재
  • 정신력과 의지 문제
    (비과학적인 접근)
  • 뇌의 생리학적인 이상
    (도파민,세로틴 등의신경전달 물질 시스템이상)

조기 정신증의 특징

조현병은 단기간내 급격한 변화가 오기 보다는 수개월 내지는 수년에 걸쳐 증상이 점차 나타나는 경우가 있어 증상 발현 초기에는 이를 알아내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조현병 초기에는 주위에 대한 무관심, 우울감, 사회적 고립, 집중력의 저하, 종교나 철학적인 문제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모습 등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후에는 환각이나 망상 등의 정신병적 증상을 경험하게 되는데 환각이란 아무런 감각 자극이 없는데 누군가 말하는 목소리가 들리거나 실제 존재하지 않는 대상이 보이기도 합니다. 또한 여러 가지 냄새나 촉각을 경험할 수도 있습니다.
망상이란 전혀 근거가 없는 현실에 맞지 않는 잘못된 믿음을 의미하며 논리적인 설득으로도 시정되지 않으며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감시하거나 자신을 위험에 빠뜨리기 위해 행동한다고 생각하는 등의 피해망상이나 주위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자신과 연관지어 개인적인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관계망상 등이 있습니다.

조현병의 특징에는 사고의 장애가 있는데 말의 두서가 없어지거나 말하려는 주제에서 엉뚱한 주제로 흘러가거나 사고가 조직화되어 있지 않고 모호하며 적절하게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야기의 핵심을 파악하기 어려울 경우가 많습니다.

조기 정신증의 신호

  •  

    망상적 사고

    사실과는 다른 잘못된 믿음

    • 남이 나를 해칠 것 같은 생각 예) 피해망상
    •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상적인 모든 일들이 자신과 관계되어 일어난다고 생각 예) 관계망상
    • 자신이 타인에게 조종당하고 있다고 생각 예) 조종망상
    • 내가 신이 되어 모두를 구원할 수 있다는 생각 예) 종교망상 등
  •  

    환각/지각이상

    외부에서 자극이 들어오는 것처럼 지각하는 현상

    • 환청, 환시, 환후, 환미, 환촉 등이 있으며, 가장 흔한 환각증상은 환청입니다.
    • 환청은 잘 구별되지 않는 소음들로부터 뚜렷한 내용이 있는 말소리까지 그 내용과 종류가 다양하며, 사람마다 빈도도 다르게 나타납니다.
    • 환청은 누군가 욕하는 소리나 명령을 하는 소리, 자기 생각이 소리로 들리는 경우가 가장 흔하며, 환청 때문에 혼자 웃거나(silly smile) 혼잣말(self talking)을 하게 되는 경우 많습니다
  •  

    이상한 말과 행동

    조현병인 사람들에게는 결여된 특성다

    • 사고과정이나 내용의 장애로 인해 대화 중 난데없이 엉뚱한 이야기를 하거나 조리에 맞지 않는 얘기를 하는 경우가 많고, 갑자기 말을 멈춘다던지 너무 느리게 반응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 또한 계절이나 상황에 맞지 않는 외모를 하고 다니거나 공격적이고 난폭한 행동을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  

    음성 증상

    사회생활하는데 기본적으로 필요한 기능 결여

    • 감정변화의 폭이 좁기 때문에 얼굴 표정이나 목소리 톤에 변화가 없습니다.
    • 또한 자신의 감정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감정에 대해서도 무디고 잘 이해하지 못합니다.
    • 아무런 의욕이나 관심이 없고, 일상생활에서 가장 기본적인 자신의 몸을 씻거나 먹는 것에도 관심을 잃게 됩니다

조현병 치료

조현병(정신분열병)의 치료는 크게 약물치료와 정신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급성기에는 약물치료가 가장 중요하며 증상의 상당 부분을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약물치료는 스트레스에 민감한 정신분열병 환자를 스트레스의 영향을 덜 받도록 보호하는 작용을 해 주며 재발을 방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 알약사진

    지속적인 투약 그리고 문제점

    조현병의 경우 역시 만성 질환이며 오랜기간 약을 먹어야 되나, 질환의 특성상 조현병 환자 중 80%이상이 한차례 이상 상당기간 동안 의사의 권고에 반하여 약을 먹지 않는다고 알려져있습니다.
    조현병 환자가 약을 거부하는 데에는 여러 원인들이 있으나 조현병 환자 스스로 병을 앓고 있음을 인정하는 병식의 부재가 주요 걸림돌이며 매일 약을 챙겨 먹어야 한다는 자체가 환자에게는 자존감 저하 및 거부감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알약사진

    장기 지속형 주사제가 개발

    약물 순응도를 높이기 위해 입안에 넣으면 바로 녹는 구강 붕해제나 액상 약물이 나왔지만 이 역시 매일 복용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어 최근 장기 지속형 주사제가 개발되었습니다. 이 주사제를 한번 투여하면 1달 내지 3달간은 매일 약을 먹는 불편감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주사제는 일단 근육 내에 덩어리로 뭉쳐 있게 되며, 서서히 주변의 혈류 및 림프액을 통해 혈중이나 세포간질로 확산이 일어나고 활성 약물 성분은 뇌에 도달하여 효과를 나타내게 됩니다. 장기 지속형 주사제는 체내로 전달되는 약물 흡수가 안정적이고 활성 약물의 체내농도가 더욱 일정하고 예측 가능하게 유지됩니다. 위장관에서의 흡수 문제, 간을 통한 일차전달 대사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마음보라가 전하는 한마디!

조현병 환자분들의 낮아진 자존감과 자신감을 회복하여 일상적인 생활로 다시 복귀하기 위해서는 지지적인 개인 정신치료 뿐 아니라 집단치료, 가족치료 등이 필요하며 재발과 재입원을 예방하고 질병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체계적인 정신사회치료의 병행 역시 중요합니다.

* 출처
  • 고려대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수영구 정신건강증진센터
  • 조현병의 역사적 고찰 J korean neuropsychiart Assoc 2015;54(4) 365-398